행복주택 입주자격 및 신청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행복주택 청약 접수를 하고 있거나, 1월 11일 청약 접수 예정이여서 저도 신청하려고 알아보면서 포스팅합니다.

 

행복주택 제도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청년(19~39세), 젊은 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국가 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역세권이나 유휴시설 등 소규모 부지를 이용해 임대주택을 건설하여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2022년까지 총 13.6만호 사업 승인 예정되어있습니다.

 

입주자격

공공 주택이라 몇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행복주택 입주자격

행복주택은 기본적으로 국민임대주택의 분류에 들어가나 국민임대주택과 달리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고령자 대상으로 하고 있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무주택자이어야 합니다. 신혼부부라면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 예비 신혼부부는 무주택세대 구성원 이어야 합니다.

소득 기준 : 해당 세대의 전년도 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 100% 이하

자산과 자동차가액까지 포함되며 기준을 넘어서는 안됩니다.

23년도에는 기준이 변할 수 있으니 해당 공고문마다 꼭 확인해 봐야 합니다.

 

마이홈 포털 행복주택 자가진단 화면

청약 신청 이전에 마이홈포털에서 자가진단 메뉴에 들어가 행복주택 자가진단 메뉴를 이용해보시면 행복주택 입주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먼저 자가 진단해보세요.

공고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임대료

주변 시세 대비 60~80% 로 형성되어있어요.

제가 본 몇몇 공고들의 공통점을 보면 보증금을 조금 더내면 월 임대료를 더 내릴 수 있었어요!

 

거주 기간

행복주택 거주기간
연령별, 조건별 거주 기간이 다른데요. 대학생, 청년은 2년계약 단위로 2번 연장 가능 총 6년신혼부부는 2년 계약 단위로 4번 연장 총 10년, 주거급여 수급자 고령자는 이렇게 20년 까지 거주 가능합니다.청년에서 결혼하여 신혼부부 가 된 경우에는 10년까지 가능한 식으로 공고에 써있더라고요.공고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신청방법

청약신청은 LH청약센터와 모바일 앱 LH청약센터 에서 가능하고, 간혹 고령자 분들을 위해 몇일간 현장 접수를 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보통 공고가 올라오고 10~20일 뒤 신청 그 이후에 심사 서류제출 이런거 다지나고 나면 5~6개월 정도 걸리는 것 같아요. 제가 신청하려는 공고는 1월에 신청해서 5월 이후 입주 가능이고, 간혹 6월 이후 입주일 미정인 식도 있었어요.

 

LH청약센터 인터넷 청약 신청 화면
이 화면에서 임대주택에 행복주택 청약 신청할 수 있어요.이후 신청창이 뜨고 모집 공고에 따라 차근차근 진행하시면 되시고, 하단에 청약 가이드, 연습하기 등을 사용하시면 더 꼼꼼히 하실 수 있어요!

 

청약을 신청하시기전에 청약 연습하기 메뉴를 통해서 한번 해보시고, 본 청약 신청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요새 금리 인상때문에 주거비 부담이 많이 되어 걱정이 많아지더라고요. 행복주택 자격에 해당 되신다면 도전 해보세요.

입주해서 목돈 마련에 조금이라도 더모아서 내 집 마련하길 기원합니다 :)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